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44

[지식경제] 2024 마케팅 트렌드 10가지 - #1편 (feat. 칸타-Kantar) INTRO2024 갑진년을 맞아 마케팅 트렌드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세계적인 마케팅 인사이트 및 분석 기업 칸타(KANTAR)가 '2024 마케팅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 했다고 합니다!이 보고서는 마케터가 올해 성장 전략을 세밀하게 조정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하네요! 과연 2024년에는 어떤 트렌드의 마케팅이 선도하고 펼쳐질지 궁금하데요?! 지금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목차 1. AI will find a way (AI가 길을 찾아줄 것)☞  마케터의 67%가 AI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하고 있으며, 이 기술이 마케팅의 미래를 바꿀 것이라고 믿음 창의적인 콘텐츠 개발에 AI를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AI는 아이디어 발상부터 시안 제작까지, 콘텐츠 개발의 전 과정에 걸쳐 활용할 수 .. 2024. 4. 23.
[석유화학] '중간원료' 제품별 요약 정리 (Feat. HS CODE, CAS NO, UN NO) Intro중간원료에는 염화에틸렌(EDC), 염화비닐(VCM), 프로필렌옥사이드(PO),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노말파라핀(Normal Paraffin), 스티렌모노머(SM), 사이클로헥세인(C-Hexane), 오쏘자일렌(O-X), 메타자일렌(Me-X), 파라자일렌(P-X), 에틸렌옥사이드(EO), 디니트로톨루엔(DNT)가 있습니다. 이중 스티렌모노머(SM), 파라자일렌(P-X), 염화에틸렌(EDC), 염화비닐(VCM), 사이클로헥세인(C-X),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에 대해 요약 정리를 해 보았습니다. 각 제품별 5가지(설명, 주요용도, HS CODE, CAS NO, UN NO, 국내 생산 기업)로 세분화 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중간원료에 대해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해.. 2024. 4. 23.
[석유화학] '기초유분' 제품별 요약 정리 (Feat. HS CODE, CAS NO, UN NO) Intro기초유분인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벤젠, 톨루엔, 자일렌에 대해 요약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각 제품별 5가지(설명, 주요용도, HS CODE, CAS NO, UN NO, 국내 생산 기업)로 세분화 하여 정리해 보았습니다. 기초 유분에 대해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석유화학] '기초유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석유화학] 석유화학의 '기초유분'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자 (Feat. 국내 제조사, Capa, 점유율) (tistory.com) [석유화학] 석유화학의 '기초유분'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자 (Feat. 국내 제조사, Capa, 점유율)Intro 석유화학산업의 기초가 되는 기초유분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기초유분에는 어떤 종류가 있고,.. 2024. 4. 22.
[지식경제] 세계 경제 흐름 ⑧ - 또 다른 위기 (2013년~2015년) Intro오늘날 발생하고 있는 경제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어떠한 일이 발생 했는지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경제 주관지 'The Economist' 의 표지그림을 보면 과거부터 현재까지 세계 경제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고 합니다.  7편, 또 다른 위기를 이어 계속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유럽 난민 사태The Economist (15년 4월 23일) ->  Europe's boat people - A moral and political disgrace (유럽의 보트피플 - 윤리와 정치 간의 불일치) The Economist (15년 9월 10일) ->  EXODUS - Refugees, compassion and democracy (대탈출 - 난민, 동정 그리고 민주.. 2024. 4. 22.
[지식경제] 세계 경제 흐름 ⑦ - 또 다른 위기 (2013년~2015년) Intro오늘날 발생하고 있는 경제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어떠한 일이 발생 했는지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경제 주관지 'The Economist' 의 표지그림을 보면 과거부터 현재까지 세계 경제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고 합니다. 5편, 6편을 통해 유럽 재정 위기(2010년~2012년)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제는 2013년부터 '또 다른 위기'라는 주제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전에 1편부터 6편까지 요약 정리를 해 두었으니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목차 세계 경제 흐름 ①~⑥ 요약 정리▶ '1997년-2005년'은 2008 금융위기의 씨앗이 뿌려진 시기- 동아시아 외환위기 -> 동아시아 및 신흥국가들 경상수지 흑자를 통한 외환보유고 축적 -> 미국으로 유.. 2024. 4. 22.
[지식경제] 세계 경제 흐름 ⑥ - 유럽 재정 위기 (2010년~2012년) Intro오늘날 발생하고 있는 경제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어떠한 일이 발생 했는지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경제 주관지 'The Economist' 의 표지그림을 보면 과거부터 현재까지 세계 경제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고 합니다. 5편에 이어 유럽 재정 위기에 대하여 계속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2011년, 긴축정책을 강요하는 독일- 재정적자 발생, 정부부채 증가로 위기를 맞은 국가들 : 포르투갈, 아일랜드, 그리스, 스페인- 독일은 채권 국가로서 위 국가에게 '재정지출 축소 및 정부부채 감소' 통해 경제위기 해소하라고 요구 (긴축정책)- 하지만 독일의 요구한 긴축정책을 극렬히 반대함 ** 재정지출 감소 : 사회서비스 축소 의미, 생활수준이 하락함 즉, 2011년은 .. 2024. 4.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