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Y/재테크 경제

[재테크] 엔화의 고공행진! 향후 엔화의 움직임은? (인플레이션, 비관세장벽, 향후 전망)

by 경제러브 2025. 3. 18.
반응형

INTRO

일본 엔화의 가치가 최근 많이 상승했음을 알 수 있는데요. 엔화의 움직임은 글로벌 자산 시장은 물론, 우리나라 수출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엔화의 상승에는 어떠한 영향과 이슈들이 있는지, 향후 움직임은 어떻게 될지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일본 금리 인상 이유

    일본 경제의 가장 큰 문제는 인플레이션입니다. 일본의 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4%가 올랐고,근원물가도 3.2%가 상승했습니다. 우리나라 지난 1월 소비자물가지수가 2.2%였으니, 놀라운 상황이 펼쳐진 겁니다. 실제 일본인의 주식인 쌀 가격이 6개월 만에 두 배 가까이 뛰었습니다. 일본에서는 지난 2014년 소비세를 인상하면서 잠시 물가가 뛴 때를 제외하고, 이 정도로 물가가 오른 적은 없었습니다. 참고로 일본은 30년간 디플레이션(물가하락)을 겪은 나라이기에, 물가가 오르면 서민경제는 팍팍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물가가 뛴 배경에는 엔화 약세가 있습니다. 일본의 기준금리가 이례적으로 낮기 때문입니다.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이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 인상에 나선 이유입니다. 다른 나라들은 금리를 내리는 와중에 일본이 금리를 올리면서 엔화가 강세를 보일 환경이 된 셈이죠.

     

    트럼프 관세 압박

    트럼프의 관세도 엔화에 영향을 줬습니다. 미국은 관세를 앞세워 세계 각국을 압박하고 있는데요. 눈에 보이는 관세 뿐 아니라 비관세장벽도 손보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습니다. 비관세장벽으로 각종 규제, 통화정책, 환율을 거론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준금리를 낮게 유지하는 통화정책을 통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자국 기업에 낮은 금리를 적용하게 하거나, 의도적으로 통화가치를 낮추면 보조금으로 보고 추가 관세를 매기겠다는 겁니다.

     

    일본 입장에서 가장 신경이 쓰이는 것은 환율입니다. 엔화가 그동안 약세를 보였기 때문인데요. 일본 엔화와 미국 달러화를 비교해볼까요. 2010년 달러당 70엔대를 기록하던 엔화는 2024년 6월쯤에는 160엔까지 올라갔습니다. 그만큼 엔화 가치가 많이 떨어졌다는 뜻입니다. 2010년대 ‘아메노믹스’가 등장하며 무제한 돈 풀기를 통해 일본 엔화 약세를 유도했기 때문입니다. 같은 시기 주요 통화와 비교해도 일본 엔화의 약세는 두드러집니다. (아래 그래프 참조)

     

    트럼프 역시 통화 약세를 유도해 미국 기업에 피해를 줬다며 일본을 콕 찍기도 했습니다. 일본의 유력 언론인 닛케이 역시 "미국이 상호 관세 카드를 검토하면서 BOJ가 압박을 받을 수 있다"라고 보도하기도 했습니다. 일본이 이런 분위기에서 엔화 약세를 만들기 쉽지 않을 겁니다.

     

    엔화 강세 용인, 속도 조절론

    엔화는 앞으로 어떤 움직임을 보일지 궁금한데요. 미국의 금리 움직임과도 맞물려 있습니다. 미국이 금리를 내리는 동안 일본은 올린다면 엔화 강세 움직임이 강화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엔캐리(금리가 낮은 엔화 자금을 빌려 금리가 높은 곳에 투자하는 방법) 자금이 청산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에 충격을 줄 수도 있습니다.

     

    일본 역시 급격한 엔화 강세를 바라지 않습니다. 금리 인상과 엔화 강세의 트라우마가 있기 때문입니다. 일본은 지난 1990년 경제의 거품을 빼려 금리를 급속하게 올린 적이 있는데요(위 그래프 참조). 이 금리 인상이 잃어버린 30년의 신호탄이었습니다. 이후 미국 닷컴 버블 덕에 일본 경제가 살아나기 시작한 2000년에도 금리를 올렸다가 경제가 주저앉은 경험이 있습니다. 2007년에도 비슷한 상황이 펼쳐졌고요. 이러다 보니 금리 인상이 무서울 수밖에 없을 겁니다.

     

    엔화 강세도 마찬가집니다. 일본은 플라자 합의 이후 1995년 엔화 강세가 정점을 찍었을 때 고베 지진과 맞닥뜨립니다(위 그래프 참조). 일본의 보험사들은 자산을 해외에 투자해 두었는데, 복구비용을 대기 위해 해외자산을 팔고 일본으로 들어오는 과정에서 슈퍼 엔고 상황이 펼쳐졌습니다. 내수가 망가진 상황에서 엔화가 강세를 보이자 일본 경제는 박살이 났습니다. 2011년에도 비슷한 상황이 펼쳐졌습니다. 바로 동일본 대지진입니다. 정리하자면 금리 인상과 엔화 강세가 나타났을 때 일본 경제가 좋은 기억이 없다는 얘기입니다.

     

    END

    미국 눈치를 봐야 하는 일본 정부로서는 엔화 약세를 유도할 수는 없는 상황인데요. 그렇다고 급격한 엔 강세는 경제에 부담이 됩니다. 결국 지금 상황에서 최선은 인플레이션과 미국 압박으로 금리 인상을 단행해 엔화 강세를 용인하면서 경제 충격을 막기 위해 속도를 조절하는 방법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 본 내용들은 오건영(신한은행 프리미어 패스파인더 단장)님의 글을 바탕으로 정리하였습니다.

     

     

     

     

    저금리 시대 고금리 재테크 방법! (연이율 5% 이상 상품)

    금리가 점점 낮아지는 시기에 다들 미국 주식으로 옮겨가고 있는데요. 하지만 미국 주식도 뚝뚝 떨어지고, 예적금 금리까지 낮아지고 있는데요. 이 때 조금이나마 더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는

    adonis-ho.tistory.com

     

     

     

    [재테크] 금 투자 방법에 대한 모든 것! (직접/간접 구매, 장단점, 수수료, 세금, ETF상품)

    INTRO요즘같이 경기가 불황인 시대에 미국도 국내도 투자처가 마땅하지 않은데요. 그러다보니 안전자산으로 많이 쏠림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다들 금 투자는 들어보셨을 것 같은데요. '금'을

    huge-economy.tistory.com

     

     

     

    부동산 세금 I 세금의 종류, 세금 절약 꿀팁 총정리! (공동명의, 비과세 혜택 등)

    INTRO모두들 내 집 마련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계실텐데요. 내 집 마련을 계획했다면, 잊지 말고 챙겨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부동산 세금인데요. 집값에 따라 세금도 달라지기 때문에 그 비용

    huge-economy.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