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
요즘같이 경기가 불황인 시대에 미국도 국내도 투자처가 마땅하지 않은데요. 그러다보니 안전자산으로 많이 쏠림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다들 금 투자는 들어보셨을 것 같은데요. '금'을 투자하는 방법과 장단점, 수수료, 세금 등 다양하게 확인하고 대표적인 ETF 상품들도 같이 확인해 보겠습니다.
▤ 목차
'금' 직접구매 (3가지)
01. 금통장
- 금통장은 돈을 입금하면 입금액만큼의 금을 적립해 주는 상품
- 은행에서 개설할 수 있으며, 모은 금은 나중에 실물로 찾을 수도 있고 현금으로 인출할 수도 있음
장점 | - 가입하기 편리하고, 0.01g이라는 작은 단위로 사고팔 수 있음 - 거래 절차도 오프라인 영업점이나 웹 또는 앱에서 현금만 입금하면 되므로 간단함 |
---|---|
단점 | - 매매차익에 배당소득세(15.4%)가 적용 - 대다수 은행의 고객 거래가격은 기준가격에 0.5~1%의 매매수수료를 가감한 가격이어서 약간 비싸게 사야 함 - 금을 실물로 찾을 경우에는 부가가치세 10%와 기타 수수료를 내야 함 |
02. 골드바
-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 금괴라고도 하는 '골드바'를 사는 것
- 골드바는 한국조폐공사, 은행, 귀금속 매장 또는 온라인에서 구매할 수 있음
- 2022년부터는 심지어 편의점에서도 골드바를 팔기 시작함 (코스트코 등 다양하게 구매 가능)
장점 | - 보유세를 내지 않음 - 절세가 중요한 부유층이 주로 선택하는 방법 |
---|---|
단점 | - 보관 공간이 따로 필요하고, 분실할 위험이 있음 - 보유세가 없는 대신 구매 시 10%의 부가가치세와 매매수수료 등 기타수수료 내야 함 |
03. KRX금시장
- KRX 금시장은 한국거래소가 운영하는 금 현물시장
- 증권사에서 금현물 계좌를 개설하면 KRX 금시장에서 금을 살 수 있음
- 계좌를 개설할 때는 영업점을 방문해도 되고, 비대면으로 계좌를 개설 가능
- 금을 100g 이상 모으면 실물 인출이 가능함
장점 | - 1g 단위로 거래하므로 (금통장만은 못하지만) 비교적 소액으로 투자 가능 - 모아둔 금을 현물로 찾지 않고 장내시장에서 거래하면 양도소득세와 부가가치세가 면세 |
---|---|
단점 | - IRP, ISA 계좌를 통한 투자는 불가능 - 반드시 전용계좌 개설이 필요함 - 실물로 인출하면 수수료가 부과되고 부가가치세 10%를 냄 |
'금' 간접구매 (2가지)
01. 금 펀드
- 금 펀드는 금을 채굴하는 기업의 주식과 금 관련 상품에 투자하는 상품
- 금 펀드는 금값 이외에도 환율과 펀드 대상 기업 실적 등의 영향을 받음
장점 | - 펀드인 만큼 비교적 소액으로 투자 가능 - 금이 강세일 때 금값 상승률보다 더 많이 오를 수도 있음 - 리스크를 감수할 수 있고, 금이 크게 오를 것이라고 생각할 때 선택하는 투자 방식 |
단점 | - 금값의 오르내림 외에도 관련 회사와 운용 증권사 자체가 경영상 어려워질 수 있다는 리스크가 있음 - 펀드 수수료도 내야 하고, 매매차익에 배당소득세(15.4%)가 있음 |
02. 금 ETF
- 금값을 추종하는 ETF 상품을 사는 방식
- 금 ETF 상품에는 크게 현물가격을 따라가는 상품과 선물가격을 따라가는 상품으로 나눔
▶ 현물 ETF: 현물(여기서는 금)을 기반으로 ETF 가격을 계산
▷ 선물 ETF: 금의 선물 가격을 기반으로 ETF 가격을 계산
- 선물 ETF는 금이 아닌 선물이 기초자산이기 때문에 증권사조차 금을 보유하고 있지 않음
- 만기 때마다 롤오버 비용을 부담해야 해야 하는데, 롤오버 비용은 선물 상품의 만기일을 연장하면서 내는 일종의 수수료임
'금' ETF 상품 및 장단점
01. 대표적인 금 ETF 상품
- 국제 금값은 달러가 기준이라서 금을 살 때는 원-달러 환율을 고려해야 함
- 금 ETF라고 해서 예외는 아니기 때문에 ETF 상품이 환율을 어떻게 적용하는지 확인
- 위의 표 '대표적인 금 ETF' 목록 중 ‘환헷지’가 들어간 ETF는 이름에 (H) 표시가 붙어있음
- 환율의 영향으로 가격이 오르고 내리는 리스크를 줄였다는 뜻
02. 금 ETF 장단점
장점 | - 증권사 계좌로 살 수 있어 기존 증권사 이용자라면 따로 전용 통장을 개설할 필요가 없음 - 연금계좌에 넣을 수 있는 ETF라면 비과세 혜택도 챙길 수 있음 - 상품에 따라 환헷지 옵션도 있고, 리스크를 각오한다면 인버스나 레버리지 투자처럼 고수익을 노려볼 수도 있음 |
단점 | - 매매차익에 배당소득세 15.4%가 붙음 - 보수 수수료 및 거래 수수료도 내야 해서, 운영비용이 드는 편 |
☞ 금은 안전자산인 동시에 실제 원자재이기도 함, 그래서 다양한 투자방법이 개발돼 있음
☞ 원자재가 그렇듯이 현물과 선물로도 거래 가능
END
금 투자를 하신다면, 나에게 맞는 상품을 찾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느 투자든 완벽한 상품은 없기 때문에 세금, 수수료, 운용방식 등 잘 확인하셔서 최적의 상품을 찾으시길 바랍니다.
※ 본 내용들은 개인 공부용으로 정리하였으며, 종목들은 투자 및 추천 관련 권유 글이 아님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금 투자와 동시에 배당까지 받을 수 있는 ETF! 알아보자!
올 들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국제 금 시세가 치솟았는데요. 금에 투자하면서 동시에 배당까지 받을 수 있는 ETF 상품이 출시된다고 해서 알아
adonis-ho.tistory.com
[재테크] 금테크 I 뜻, 투자 이유, 방법, 장단점, 주의사항 총정리!
INTRO많은 투자자들은 리스크 있는 재테크 수단보다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재테크를 선호하는데요. 2000년 이후 최고 수익률을 기록한 재테크가 있습니다. 바로 금인데요. 재테크 방
huge-economy.tistory.com
연기금 I 15% 수익률, 매수 매도, 연기금 투자 방법 총정리!!
국민연금 등 연기금은 장기, 분산 투자 전략을 바탕으로 높은 수익률을 거두었는데요. 주식 시장이 롤러코스터를 타는 동안에도 15%라는 어마어마한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달성할 수 있었던
adonis-ho.tistory.com
'ECONOMY > 재테크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테크] 나에게 맞는 환테크 방법 알아보기! (달러 투자, 환율 스프레드) (3) | 2025.04.02 |
---|---|
[재테크] 엔화의 고공행진! 향후 엔화의 움직임은? (인플레이션, 비관세장벽, 향후 전망) (5) | 2025.03.18 |
[재테크] 퇴직연금 I DC형 DB형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까? (2) | 2025.03.11 |
[재테크] 신용점수 관리는 왜 잘해야 하는가? 신용점수 올리는 방법 알아보기! (2) | 2025.03.04 |
[미국] 25년 3월 CONY, MSTY 배당일, 배당락일 총정리! (일드맥스 ETF 그룹 배당일정) (4) | 2025.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