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Y/석유산업 경제

[석유화학] 'MIBK' 메틸이소부틸케톤에 대한 모든 것! 총정리! (Feat. 특징, 용도, 공정, 주요 이슈)

by 경제러브 2024. 6. 12.
반응형

Intro

국내 유일 금호피앤비화학에서만 MIBK 제품이 생산되는데요. 에폭시수지, 용제, 타이어, 반도체 등 다양하게 활용되는 이 제품은 과거 수출 효자 상품이었는데요. 아세톤을 원료로 제조하는 'MIBK'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MIBK(메틸이소부틸케톤)이 무엇인지, 특징 및 용도, 밸류체인, 생산능력, 주요 이슈 등 상세하게 알아보고 정리해 보겠습니다.

 

▤ 목차

    'MIBK(메틸이소부틸케톤)'은 무엇인가

    ↗ Methyl Isobutyl Ketone (4-Methyl-2-pentanone)

    ↗ 분자식은 C6H12O 이며, CAS 번호는 108-10-1

    ↗ 아세톤과 수소를 촉매 존재하에 반응

    ↗ 무색 투명하고 특이한 향을 가진 인화성 물질

    ↗ 물에서 용해되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

    ↗ 비닐,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에폭시 수지의 용제 등으로 사용

    ↗ 타이어 노화방지제, 락카, 전기도금, 반도체 산업에서도 사용

     

    'MIBK' 특징 및 용도

    01 특성

    - 냄새가 나는 무색 투명한 액체로 거의 물에 녹지 않음

    - 끓는점 87.9℃, 수분 함량은 24.3%, 케톤 함량은 75.7%

    - 페놀, 알데히드, 에테르 및 벤젠과 같은 유기용제에 섞임

    출처 - 금호피앤비화학

     

    02 용도

    - 중비등점 용제로 합성수지 등의 용매, 페인트, 접착제 성분, 추출제 등 용제가 주요 용도

    (특히 선박 바닥과 자동차용 페인트 및 시너 등으로 사용)

    - 60% 이상 도료의 용제나 표면 코팅 보호제로 사용 (건설 및 자동차, 조선 경기에 영향을 받음)

    - 20% 고무 노화 방지제 제조

    - 이 외 의약품, 잉크, 접착제 등에 활용

    - MEK(메틸에틸케톤)의 수급이 타이트해지면 대체소재로 채용됨 (EA, 에틸 아세테이트와 함께 수요 증가)

     

    'MIBK' 국내 생산 능력

    - 국내는 금호피앤비화학이 유일하게 생산 (1991년 상업가동 시작)

    - 총 연간 생산 능력은 6만톤 (내수 수요 연간 2만톤 수준)

    - 국내 시장의 경우 금호피앤비화학 80%, 수입제품 20%로 구성되어 있음

    아세톤 생산 능력(I ECONOMY U)

     

    ※ MIBK 원료인 아세톤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석유화학] '아세톤(Acetone)'에 대한 모든 것! 총정리! (Feat. 페놀, 특징, 용도, 글로벌동향)

    Intro우리에게 화장품 원료 중 하나로 친숙한 제품이며, 페놀과 함께 생산되는 중요한 물질인 '아세톤(Aceton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세톤이 무엇인지, 특징 및 용도, 계통도, 국내외 생산능

    huge-economy.tistory.com

     

    Value Chain 및 생산 공정

    01 Value Chain

    출처 - 금호피앤비화학

     

    - 벤젠과 프로필렌을 원료로 인산 촉매하에 큐멘(Cumene)을 생산

    - 페놀 생산 공정을 통해 페놀 1 대 아세톤 0.6 수준으로 생성

    - 아세톤을 원료로 하여 MIBK 생산

    ※ 페놀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석유화학] '페놀(Phenol)'에 대한 모든 것! 총정리! (Feat. 특징, 용도, 공정변천사)

    Intro강력한 항균성을 가진 유기화합물로, 화학 공업의 중요한 기초 물질인 '페놀(Phenol)'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페놀의 정의, 특징 및 용도, 계통도, 생산능력, 공정 변천사, 제조 공정, 산업

    huge-economy.tistory.com

     

    02 MIBK 생산 방법

    - 아세톤을 원료로 사용해 수산화바륨 촉매로 축합반응시켜 DAA(Diacetone Alcohol)을 제조

    - 이후 탈수 반응을 거쳐 Mesityl Oxide로 전환하고 구리계 촉매를 사용해 수소화 반응시켜 제조


    출처 - 금호피앤비화학

     

     

    현재까지 주요 이슈

    - 2018년, 금호피앤비 MIBK 제품에 대해 중국은 18.5% 반덤핑 관세를 부과함

    - 일본산 MIBK에 45 ~ 190.4%, 남아프리카산 15.9 ~ 34.1%의 반덤핑 관세 부과함

    - 2016년 기준 중국의 MIBK 수입 중 금호피앤비화학 비중이 50% 이상이었음

    - 당시 중국 시장 점유율 50% 이상 외 전 세계시장 점유율 10% 수준으로 세계 1위를 기록함

    - 중국의 반덤핑 부과로 인해 실제 타격은 크지 않음 (MIBK 전체 수출의 3% 수준)

    - 2018년 기준 중국은 전체 MIBK 수요 12만톤 중 5~6만톤 정도를 수입에 의존했었기 때문에 반덤핑 효과가 크지 않음

    - 관세 부과 이후에도 타이어용 고무첨가제 용도 등 일부는 조건부로 관세 부과하지 않음

    - 가장 큰 타격은 일본이 받았으며(수출 급감), 국내 금호피앤비화학은 오히려 20% 이상 수출이 증가함

    - 2019년 아세톤 잉여물량을 소진하기 위해 MIBK 가동을 대폭 확대하면서 MIBK 공급 과잉 현상이 발생

    - 결국 2019년 11월부터 한국, 일본(미쓰이케미칼)에서 라인 중단 및 감산 진행함

    - 2020년에는 중국 대부분 MIBK 기업들이 수익성 악화로 가동률 중단으로 이어짐 (코로나 사태)

    -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대부분 국가에서 수요가 급감함 (인도 22%, 중국 50% 수준 급감)

    - 인도의 MIBK 수요는 선박, 건축 페인트 용도가 대부분 (자동차용 고무첨가제 용도 MIBK 사용 하지 않음)

    - 국내 MIBK 수입품은 일본(미쓰이화학, 관세 4.4%), 남아공(사솔, 관세 5.5%)로 대부분 BULK로 수입됨

    - 2023년 LCY(대만)의 중국공장의 MIBK 제조 철수로 인해 공급 이슈 발생 (가격 급등)

    - 24년 기준 글로벌 MIBK 수요는 최대 수요국인 중국이 약 10만톤, 미국 7만톤, 유럽 8만톤으로 추정

    (미국은 MIBK보다 MIBC-Methyl Isobutyl Carbinol의 수요가 많은 특징)

    출처 - 켐로커스

    END

    우리에게 익숙치 않은 이름, 그리고 아세톤을 원료로 제조하는 'MIBK(메틸이소부틸케톤)'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금호피앤비화학에서 수출 효자 상품으로 국내 시장에서는 거의 독점이었는데요. 내수에서는 에폭시 수지 및 도료, 용제 등으로 사용이 많이 되었고, 수출시장에서는 타이어 고무첨가제, 선박, 건축페인트등 시장에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시장이 아세톤 페놀에 비하면 아주 작은 만큼 정보도 많지 않아 아쉽습니다.

     

    MIBK에 대해 특징 및 용도, 생산방법, 밸류체인, 주요 이슈 등 자세하게 알아본 만큼 조금이나마 이해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본 내용들은 다양한 사이트에서 관련 내용을 발췌하여 개인 공부용으로 정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