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Y/지식&공유 경제

도시가스요금 I 지역별 차이와 계산하는 방법 총정리! (가스앱)

by 경제러브 2025. 4. 25.

INTRO

도시가스요금, 매달 고지서로 받긴 하지만 정작 ‘왜 이렇게 나왔지?’하고 궁금하셨던 분들 많으실 텐데요. 특히 2024년 하반기부터 주택용 요금이 인상되면서, 에너지 비용에 대한 체감 부담이 확 올라갔습니다. 더운 날 에어컨만큼 중요한 게 바로 온수 사용인데요. 생각보다 가스가 많이 들어간다는 사실! 오늘은 2025년 4월 기준 도시가스요금 변동 상황부터 지역별 요금 차이, 그리고 실제 계산 방식까지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도시가스요금' 2가지

    ☞ 도시가스요금은 크게 두 가지로 하나는 도매요금, 다른 하나는 소매요금

     

    - 도매요금은 전국 어디서나 동일하게 적용, 우리가 실제로 내는 소매요금은 사는 지역에 따라 다름

    - 2025년 4월 기준, 주택용 도매요금은 MJ당 20.8495원

    - 이 안에는 천연가스 수입 비용(원료비)과 공급에 필요한 인건비, 설비 투자비(공급비용)가 포함

    - 여기에 각 지역 도시가스사가 정하는 마진과 정책요금이 붙으면서, 우리가 납부하는 최종 요금인 ‘소매요금’이 정해짐

     

    예를 들어 부산의 경우, 단가는 16.4490원/MJ, 기본요금은 월 850원에서 1,000원 수준(부가세 별도)인데요. 서울, 인천, 대전 등 다른 지역은 단가와 기본요금이 다르게 책정되어 있어 지역 간 체감 요금 차이가 발생합니다.

     

    '도시가스요금' 인상

    2024년 8월부터 도시가스요금은 본격적으로 인상되었습니다. 주택용 기준으로 6.8% 인상, MJ당 22.2954원으로 조정되었는데요. 이는 국제 천연가스 가격 상승과 한국가스공사의 미수금 누적이 주요 원인입니다. 쉽게 말해, 들여오는 가스값은 오르는데 소비자에게 전가되지 않던 부담이 결국 쌓이고 쌓여 인상으로 이어진 셈입니다.

     

    특히 민수용(주택·일반용) 요금은 홀수달마다 연료비 조정단가에 따라 조정되기 때문에 1월, 3월, 5월... 이런 식으로 두 달 단위로 바뀌는 요금 변화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습니다. 월별로 사용량이 일정하더라도, 요금이 달라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관련 상세 뉴스 ☞

     

    '도시가스요금' 계산

    도시가스요금 계산은 단순하지 않으며, 특히 주택용 가스는 취사와 난방을 함께 쓰는 경우가 많아, 계산 공식이 조금 복잡합니다.

    ▶ 주택용 (취사 전용) :

    ☞ 요금 = [기본요금 + (사용량 × 단가) + 계량기 교체비] × 1.1

     

    ▷ 주택용 (취사+난방 겸용) :

    ☞ 요금 = [기본요금 + ((사용량 - 516MJ) × 난방단가 + 516MJ × 취사단가 + 계량기 교체비)] × 1.1

    ** 여기서 516MJ는 기준값으로, 그 이하는 취사요금, 초과분은 난방요금으로 계산

     

    ▶ 기타 용도(상업, 산업 등):

    ☞ 요금 = [(사용량 × 단가) + 계량기 교체비] × 1.1

    ** 여기서 ‘× 1.1’은 부가세 10%를 반영한 항목

    ** 참고로, 계량기 교체비는 보통 연 단위로 소액 부과되며, 요금 고지서에 포함돼 별도로 청구되진 않음

     

    '도시가스요금' 관리

    2025년 도시가스요금은 전반적으로 인상되었습니다. 도매요금은 전국 동일하지만, 실제 납부금액은 사는 지역과 사용 패턴에 따라 차이가 크다는 사실. 사용량이 많아지는 계절에는 고지서가 예상을 훌쩍 넘기도 하는데요. 따라서 요금 구조를 제대로 이해하고, 자신이 어떤 용도로, 얼마나 사용하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도시가스사 홈페이지에서는 사용량별 요금을 미리 계산해 볼 수 있으니 적극 활용해 보시면 좋습니다. 작은 정보 하나가, 매달 수천 원의 절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각 지역별 도시가스사 확인 ☞

     

     

    가스앱(도시가스비 확인)  ☞

     

     

     

     

     

     

    전세 월세 어떤 것이 유리할까? 차이점 총정리! (전월세 계약 체크리스트)

    INTRO최근 부동산 시장에서는 전세보다 월세 계약이 늘어나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는데요. 전세와 월세의 차이는 무엇이고, 지금 상황에서는 어떤 선택이 더 유리할지 궁금한데요. 전세 월세 차

    huge-economy.tistory.com

     

     

     

    [앱테크] 돈버는 어플 인기 앱 11가지 분야별 총정리! (캐시워크, 머니워크 등)

    요즘은 손에 스마트폰을 쥐고만 있어도 소소하게 돈이 쌓이는 시대인데요. '앱테크(App+Tech)'는 스마트폰 앱을 활용해 현금이나 포인트를 적립하는 새로운 방식의 경제 활동으로, 누구나 쉽게 시

    adonis-ho.tistory.com

     

     

    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대상 및 신청방법 총정리!

    내가 매달 저축한 만큼 정부도 똑같이 채워주는 믿기 어려울 만큼 파격적인 지원 제도가 바로 청년내일저축계좌인데요. 2025년도에도 신청을 받고 진행합니다. 취업했지만 여전히 목돈 마련이

    adonis-ho.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