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Y/지식&공유 경제

[공유경제] 서울시 무주택가구 출산자녀 주거비지원 월 30만원 알아보기! (Feat. 지원대상 및 조건, 신청시기)

by 경제러브 2024. 5. 17.
반응형

Intro

최근 저출산과 미혼가구가 늘어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경제적인 문제에 있는 것 같은데요. 혼자 벌어 먹고 살기도 어려운데, 나의 배우자와 자녀까지 책임지고 함께 미래를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 심적으로 부담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현실과 동떨어진 아쉬운 출산 정책들도 한 몫을 한다고 생각되네요.

 

서울시에서는 무주택 가구 출산 자녀를 대상으로 주거비 지원을 해주는 제도가 있어 공유드리려고 합니다! 바로 '서울시 무주택가구 출산 자녀 주거비지원' 입니다! 조금이나마 금적적인 문제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 목차

     

    '주거비지원' 제도 취지

    서울시는 주거비 때문에 서울을 떠나거나 아이 낳기를 포기하는 일을 최소화

    ☞ 청년, 신혼부부 대상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사업과 더불어 무주택가구 자녀를 출산할 경우 주거비를 지원하는 정책

    ☞ 전국 최초로 마련함


    출처 -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 '주택'과 '가족' 때문에 서울에서 경기 및 인천으로 이주하는 인구가 매년 증가해 지난해에만 약 20만명 (61.3% 차지)

    √ 서울의 높은 주거비는 아이 낳을 결심을 가로 막는 가장 큰 원인

     

    지원 대상

    ※ 서울시 무주택가구 자녀출산 주거비지원 대상자 조건 - 소득기준 없음

    1)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입양)한 무주택가구의 부 또는 모

    2) 출생아 부 또는 모의 주민등록이 서울, 출생아는 부 또는 모의 주민등록상 동일 주소

    3) 입양아는 출생일로부터 48개월 이하 (사회복지지설 입소 아동 제외)

    4) 무주택자로 임차(전세, 월세)주택 소재지는 서울

    5) 지원자가 타시도 전출, 주택구매의 경우 지원중단, 공공임대주택 입주자는 제외 

     

    √ 임차주택가격 전세 7억원 이하 또는 월세 268만원 이하 (월세는 보증금에 따라 금액 변동)

    √ 무주택 판단기준 : 주택 및 분양권(공유지분) 등을 포함하여 본인 및 배우자 소유(상속취득) 주택이 없는 경우

    √ 공공임대주택 : (SH) 장기전세주택, 청년안심주택 등, (LH) 행복주택, 국민임대 등

     

    지원 내용

    2025년 1월 1일 이후 출산(입양) 1명당 2년간 매월 30만원씩 총 720만원 지원 (소득기준, 나이 상관 없음)

    ☞ 다태아인 경우, 태아수에 비례해 지원

     

    √ 다문화 가족이어도 부모 중 한 명이 한국인이고 출생아가 한국 국적이면 지원 받을 수 있음

     

    지원 조건 및 신청 시기

    2025년 1월 1일부터 시행!

    ☞ 신청 월부터 2년동안 지원

    ☞ 무주택 가구

    ☞ 자녀 출산(입양)일로부터 6개월 이내

    ☞ '몽땅정보 만능키' 사이트에서 신청 (umppa.seoul.go.kr)


     

    신청 방법

    ☞ 서울시가 출산 또는 육아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담은 원스톱 서비스 플랫폼 '몽땅정보 만능키 홈페이지' 통해 신청

     

    몽땅정보 만능키 홈페이지

     

    몽땅정보 만능키

    대상 양육가정 맞벌이 (예비)임산부 산모 다자녀 다문화 예비부부 청소년부모 한부모 미혼모부 장애아 아이연령 임신·출산 0~2세 3~5세 6~9세 10세 이상

    umppa.seoul.go.kr

     

    END

    사회보장제도 협의 등 사전절차를 거쳐 내년부터 시행한다고 하며, 연 1만 가구 지원 기대가 된다고 하는데요. 왜 25년도 1월 1일자 출생자부터 지원이 되는 것인지 너무 아쉬운 부분입니다. 저는 비록 혜택을 받지 못하겠지만, 25년도 출산 예정인 부모들에게는 조금이나마 부담을 덜 수 있는 제도여서 좋은 것 같네요!

     

    서울시 정책이 과연 향후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며 타 지역으로 떠나지 않게 되는 제도가 될지는 지켜봐야겠습니다.


    출처 - 서울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