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Y/석유산업 경제

[석유화학] 탈황공정(HDS) 및 황회수처리공정(SRU) (Feat. TGTU)

by 경제러브 2024. 5. 9.
반응형

Intro

지난시간 포스팅에서는 고도화 공정 중 하나인 RFCC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에는 일반 공정 중 '탈황 공정(HDS)' 및 '황 회수 처리 공정(SRU)'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처 - GS칼텍스


RFCC는 수소를 첨가하는게 아니라 접촉분해공정으로 원료유를 탈황하여 원료로 해야하고 이후에는 이 황을 회수하는 시설이 필요한데요 이것이 바로 탈황 공정 및 황 회수처리 공정입니다!

 

▤ 목차

     

    'HDS' & 'SRU' 는 무엇인가

    01 탈황 공정 (HDS)

    - Hydro Desulfurization Unit

    - 상압증류공정(CDU) 혹은 감압증류공정(VDU) 등에서 생산되는 각 제품에 들어있는 Sulfur(황)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

    - Sulfur(황)는 H2S(황화수소)로 N2(질수)는 NH3(암모니아)로 전환, 올레핀(Olefin) 성분은 포화(Saturation) 되어서 파라핀(Paraffin)으로 변화되는 공정

    - 황, 질소, 금속 화합물 등 각종 불순물은 고온 고압 하에서 촉매와 수소를 사용하여 제거하며, 이를 통해 더 좋은 품질의 경질유를 생산

     

    02 황 회수 처리 공정 (SRU)

    - Sulfur Recovery Unit

    - 탈황이나 분해반응에서 발생하는 황화수소(H2S)를 촉매반응을 통해 순수한 유황으로 회수하는 시설

    - 생산되는 유황은 액체 형태의 용융 유황으로, 주로 비료공장 및 나일론 공장에서 원료로 사용


    출처 - GS칼텍스

     

    '황(Sulfur)' 함량을 줄이는 과정

    출처 - harujongi11님의 블로그


    - 탈황공정(HDS)를 통해 고온고압 하에서 촉매와 수소를 이용하여 제거함

    - 황 성분은 황화수소(H2S)로, 질소 성분은 암모니아(NH3)으로, 방향족은 고리를 끊어내어 제거함

    - 이처럼 황화수소와 암모니아를 함유한 부생가스가 다량으로 발생하는데 이때 황 회수 시설(SRU)를 통해 이 두가지를 제거함(가스를 연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됨)

     

    황에 대해서 좀더 알아보자

    - 황은 SO2, SO3, H2S, SO3, RSH 등으로 변화하여 대기 오염의 주 원인이 됨

    - 정유산업에서 설비 부식 및 촉매 수명 단축을 막기 위해 제거가 필요

    - 우리나라 내수 판매용 경유의 황 함량 규격은 10 PPM 이하 (경유 유분의 황 함량이 14,000 PPM)

    - 고도의 처리 과정을 거쳐 황 함량을 줄이게 되는데 전 세계적으로 우리나라 등경유 품질 규격은 가장 깐깐한 수준

    - 황은 '리튬 황 배터리'로 주 원료로 활용(저렴하고 무게가 가벼워 전지의 에너지 밀도 높임)

    - 배터리 제조사들은 정유사로부터 황을 공급 받음 (ESG 효과도 있음)

    - 황은 비료의 주성분이자 타이어 등에 사용하는 고무에 첨가해서 고무의 탄력을 높이는데도 사용

    - 황산(H2SO4) 및 살충제, 살균제, 화학약품 등 다양하게 사용

     

    탈황 공정 (HDS)

    01 공정과정

    - 원료는 수소와 혼합되어 예열된 후, Fixed Bed Reactor에서 촉매층을 통화하면서 원료에 있는 황을 황화수소(H2S)로 전환되며, 불포화 탄화수소는 포화되는 반응이 발생

    - 반응기를 떠난 반응물질을 Cooling 후 Separator에서 Hydrogen-rich Gas와 Liquid로 분리됨

    - 분리된 Liquid는 Stripper에서 황화수소(H2S)가 일부 gas와 함께 제거되며, 부산물(By-product)인 경질유(Light Distillate)를 증류탑(OVHD, overhead)로 제거하고 Bottom으로는 탈황제품(Desulfurized Product)를 생산함

    - 이 때 제거된 H2S Rich Gas는 Amine Unit에서 H2S를 제거한 후 Fuel로 활용

     

    ** Stripper : 저비점 탄화수소를 제거하기 위해 혼합물에 스팀을 불어넣어 분압 차이를 이용해 분리하는 조작 장치

    ** H2S Rich Gas : 황화수소를 다량 머금고 있어 뚱뚱한 가스라고 생각하면 됨

    ** Amine은 H2S (+CO2)를 포획하는 역할을 함


    출처 - dohyuni1018 님의 블로그

     

    02 제품

    - 원료 : 나프타, 등유, 경유, 감압경유(VGO), 상압잔사유(AR), 감압잔사유(VR)

    - 제품 : Sulfur(황)가 제거된 나프타, 등유, 경유, 감압경유(VGO), 상압잔사유(AR), 감압잔사유(VR)

     

    황 회수 처리 공정 (SRU)

     

    Chiyoda 자료


    ☞ 반응식 :  2H2S + 3O2 → 2SO2 + 2H2O // 2H2S + SO2 → 3/2S2 + 2H2O

    - H2S의 일부가 먼저 산화되면서 SO2가 되고, H2S와 SO2가 섞인 상태에서 S를 회수하는 순서로 반응이 이루어짐

    - 대표적인 SRU의 Claus process는 주로 1개의 thermal reactor와 2~3개의 catalytic reactors로 구성

    - 위 사진의 Combustion chamber(연소실) 혹은 Reactor Furnace라고 불리는 곳에서 한번 산화시킨 후 뒤쪽 Claus reactor 에서 순차적으로 촉매 반응을 시켜 황을 회수함


    출처 - 위키피디아


    - Combustion chamber에 해당되는 thermal reactor를 통해 약 50~60%의 H2S가 전환되고 Reactor을 통해 최대 97%의 H2S가 전환됨

    - 과정을 통해 95~99%까지 황성분이 제거된 tail 가스는 마지막 소각로인 Incinerator에서 소각을 하여 CO2, H2O, 일부 SO2로 변환이 된 뒤 대기로 방출

     

    ** Thermal reaction : Burner 연소를 통한 고온(980~1370℃)으로 황 제거 및 탄화수소 암모니아 등 제거

    ** Claus reaction : Claus reaction ( 2H2S + SO2 → 3/2S2 + 2H2O)를 이용한 황 제거

    ** Superclaus reaction / TGTU : 약 99% 까지 황 성분 제거

    ** TGTU : 남아있는 황을 포함하는 기체를 모두 H2S로 전환시켜 Amine unit에서 다시 흡수하도록 돕는 공정

     

    SRU 공정 흐름도 및 용어 정리

    출처 - 한국산업안전공단


    SRU :  H2S를 S로 바꿔 추출하는 공정

    TGTU : SRU에서 99% 이상 정제된 것을 다시 AGR(Amine unit) 혹은 SRU로 넣어 1%의 황까지 뽑아내는 공정

    Waste heat boiler : Thermal reactor에서 발생하는 열을 steam 생산에 사용 (폐열 이용하여 물을 steam로 생성)

    SWS : Sour Water Stripper로 Sour gas를 stripping 하여 sour gas로 만든 뒤 SRU로 보냄

    ARU : Amine Recovery Unit로 HDS에서 나온 Rich amine에서 황과 같은 유기 화합물을 제거하여 다시 재사용하는 공정.

    SWTU : Sour Water Treating Unit로 oil, water, gas로 분리하여 gas는 ARU와 함께 SRU로 보내지고 water은 저장탱크 및 후속처리 공정으로 보내지며, oil은 재사용

    MDEA : Methyl Diethanol Amine로 황화수소를 선택적으로 제거

    Acid gas : H2S, COS, CS2, CO2

     

    END

    탈황 공정(HDS) 및 황 회수 처리 공정(SRU)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았는데요.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이런 과정들이 있다는 것이 정말 대단한 것 같습니다. 더불어 황은 배터리 제조 강국인 대한민국에서 리튬 황 배터리 원료를 정유사에서 공급받아 사용될 수 있다는 것도 서로에게 큰 장점인 것 같습니다.   

     

    HDS 및 SRU에 대해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아 여러 사이트를 통해 최대한 이해하며 정리를 했고, 일부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두 공정에 대해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인지 큰 틀에서 조금이나마 이해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RFCC 공정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석유화학] 중질유분해시설 'RFCC(Residue Fluid Catalytic Cracking)'

    Intro지난 포스팅에 일반정유공정 중 하나인 'CDU(상압증류공정)'에 대해 공부해 보았습니다. CDU를 거친 원유는 끓는점에 따라 분별증류하여 LPG, 나프타, 등유, 경유, 아스팔트, 벙커C유 순으로 분

    huge-economy.tistory.com

     

     

     

    ※ 본 내용들은 다양한 사이트에서 관련 내용을 발췌하여 개인 공부용으로 정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