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Y/석유산업 경제

[석유화학] 친환경 국제인증 'ISCC PLUS' & 'ISCC EU' 알아보자! (Feat. 국내 기업들 현황)

by 경제러브 2024. 5. 3.
반응형

Intro

최근 선진국을 중심으로 한 친환경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데요. 기후 변화 심각성으로 인해 전 세계적인 석유화학 기업들은 환경오염을 줄이며 친환경, 지속가능한 산업에 초점을 맞춰 준비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인증 제도 중 'ISCC EU' 및 'ISCC PLUS'는 전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친환경 국제인증이라고 하는데요. 국내 기업들도 하나 둘 취득하면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럼 'ISCC EU' 및 'ISCC PLUS' 인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목차

     

    'ISCC'는 무엇인가?

    ☞ 'International Sustainability and Carbon Certification'의 약자로 '국제 지속 가능성 및 탄소 인증'을 의미

    ☞ ISCC 협회에서 개발한 인증제도 (2006년 독일에서 탄생한 인증)

    ☞ 지속가능하고 추적 가능하며 삼림 벌채가 없고 기후 친화적인 공급망을 지원하는 선도적인 인증 시스템

    ☞ 전체 공급망에 대한 심사를 통해 명확한 관리 연속성(CoC, Chain of Custody) 접근 방식을 채택

    ☞ 재료의 재배·수집 및 가공뿐만 아니라 최종 제품 유통 전반에 걸처 현장별 인증서가 있음

    ☞ 매년 재인증이 필요함

    ☞ EU의 재생에너지 시장이 RED(Renewable Energy Directive)로 규제가 시작하고 EU의 RED 준수 여부를 ISCC 인증서로 인정되기 시작하면서 ISCC 인증 수요 증가

     

    즉, 친환경제품의 원료가 공급업체부터 생산 및 판매 과정까지 적합하게 관리되고 있는지 제3자가 확인해 인증 부여함


     

     평가 기준 및 핵심

    - ISCC에서 정한 Material list의 제품의 종류에 기반, Feedstock 관련 전방산업(Upstream)에서부터 공급망의 마지막 단계 후방산업(Downstream)까지 전체 공급망 내에 재품의 지속 가능성 관리의 연속성(Chain of Custody) 방법을 기준으로 평가

    - 공급망 내에서 재생 에너지, 재생 탄소 재료 등 사용을 확인하고 이러한 인증 제품의 추적성을 보장하는 것이 핵심

     

    'ISCC PLUS'는 무엇인가?

    ☞ 자발적 인증으로 바이오 경제 및 순환 경제를 위한 지속가능성을 입증할 수 있는 인증 제도

    ☞ 최초로 인정된 바이오매스 및 바이오에너지 인증 제도

    ☞ 농업 및 임업, 바이오매스, 바이오 유래 폐기물과 잔류물, 재활용(순환) 재료, 재생에너지 등 모든 지속가능한 공급 원료 포함

    ☞ EU의 재생에너지지침(RED II, Renewable Energy Directives II)와 밀접하게 연관됨

    ☞ 2018년 대비 2019년에는 유효 ISCC PLUS 인증 건수가 80% 증가

    ☞ 기업과 소비자에게 엄격한 기준의 지속가능성 요건을 충족한다는 확신을 제공함

     

    즉, 유럽연합의 재생에너지 지침에 따라 지속가능성 및 저탄소 제품에 부여하는 국제인증 제도

     

    01 바이오 경제 (Bio economy)

    - 바이오기술의 발전에 따라 바이오제품의 보급 향상으로 인류에 편익을 가져다주는 바이오기술 기반 경제를 뜻

    - 즉, 일반적인 화석원료가 아닌 식물이나 동물의 폐기물 등에서 얻는 에너지 기술임

     

    02 순환 경제 (Circular economy)

    - 플라스틱 사용의 감소(REDUCE), 재사용(REUSE) 그리고 재활용(RECYCLE)이라는 개념에 바탕을 두고 있음

     

    'ISCC PLUS' 인증 적용 분야

    ☞ 화학, 포장, 플라스틱, 식품, 사료 및 에너지를 포함 순환 경제 및 바이오 경제에 기여하는 모든 분야를 포괄함

    ☞ 바이오 플라스틱

    ☞ 혼합 플라스틱 폐기물

    ☞ 재생 플라스틱 혼합 가공 분야

    ☞ 화학 물질 및 기술 응용

    ☞ 식품 및 사료에 사용되는 농업 원료

    ☞ 바이오 연료 시장 (예 : 재생유,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등)


    ISCC PLUS 인증 관련 점검 프로세서

     

    'ISCC PLUS' 인증 혜택

    ☞ 노동 및 토지 이용 영향을 포함한 환경, 사회 및 거버넌스(ESG) 영향을 제한하려는 회사의 노력의 검증

    ☞ ISCC PLUS를 산업 지속 가능성 인증의 표준으로 인식하고 있는 국제 시장에 대한 접근성 확대

    ☞ 지속 가능성과 좋은 환경 관리의 선두 주자로 글로벌 공급망 전반에 걸쳐 브랜드 가시성


    √ 규제 프레임워크 (예 : EU 그린딜), 국내법 및 업계 중심 이니셔티브 준수 입증
    √ 제품의 온실가스 (GHG) 배출 감소 입증
    √  산림 및 생물다양성 보호 지원
    √  공급망 전반에 걸쳐 지속가능성 실현을 위한 노력 추적
    √  더 나은 ESG 성과를 위한 우수한 기업 거버넌스 입증
    √  신용 및 대출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속가능성의 순위를 높이고, 주식 시장의 ESG 등급과 투자자 매력도를 향상
    √  새로운 시장에 접근하고 기존(화석연료) 제품을 재활용 또는 바이오 기반 제품으로 대체
    √  지속가능한 제품을 통해 고객의 기대 충족

     

    'ISCC EU'는 무엇인가? 다른점은?

    ☞ 의무 인증으로 유럽 시장 내 바이오 연료를 판매하기 위해서 필수로 취득해야 함

    ☞ 운송, 전기, 냉난방 및 전기 생산에 사용되는 지속 가능한 연료와 유럽연합에서 바이오 매스를 이용한 전기 생산 및 냉난방 등에 적용 

    ☞ ISCC PLUS의 경우 EU 시장 뿐만 아니라, EU 이외의 국가로 지속가능한 원료나 제품을 판매할 때에 취득하는 것으로 자발적인 인증 프로그램

     

    ∴ ISCC EU의 인증품으로 ISCC PLUS로 판매를 하는 것은 가능하나, 반대로 ISCC PLUS의 제품으로 ISCC EU 제품으로 판매하는 것은 불가능

    ∴ ISCC EU가 바이오 연료에만 해당되는 인증이라면 ISCC PLUS는 모든 유형의 농업 및 임업 원료, 폐기물, 잔여물, 바이오 기반이 아닌 재생에너지, 재활용 재료들에 대한 인증


    ISCC EU & PLUS 비교 (출처 - GOODNEWS114님의 블로그)

     

    국내 기업들 'ISCC PLUS' 현황

    01 한화솔루션

    - 옥수수, 사탕수수 기반의 바이오매스와 폐유 등 바이오 폐기물에서 유래한 원료를 도입한 저탄소 생산 공정의 친환경성을 인정 받음

    - 이차전지 양극재의 소재로 쓰이며 주목받는 가성소다는 생산에 필요한 전력에서 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여 아시아 최초로 ISCC PLUS 재생에너지 활용 분야(Renewable)의 인증을 획득

     

    02 LG화학

    - 2021년 4월 국내 최초로 기저귀, IT∙가전제품,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9종의 제품에 대해 친환경 국제인증

    - 폐식용유, 팜오일 등 재생 가능한 식물성 원료로 생산하는 Bio-Circular Balanced 제품에 대한 ISCC(International Sustainability and Carbon Certification) Plus 인증을 획득

    - 국내 최초∙최다인 SAP(고흡수성 수지), PO(폴리올레핀), PC(폴리카보네이트) 컴파운드 등 총 9개 Bio-Circular Balanced 제품에 ISCC Plus 인증 받음

    - ISCC Plus 인증을 50개 이상을 획득

     

    03 HDC현대EP

    - PS(Polystrene), EPS(Expandable Polystrene) 제품의 생산에 대해 국내 최초로 글로벌 지속가능 친환경 ISCC PLUS 인증 획득

    - 울산공장이 ISCC PLUS 인증을 획득함으로써 PS, EPS 제품의 원재료를 기존 SM(Styrene Monomer)에서 폐플라스틱으로부터 재생된 SM(Recycled-Styrene Monomer)으로 대체한 생산기술 개발 성과 인정 받음

     

    04 S-OIL

    - ISCC 인증 3종을 동시에 취득 (ISCC PLUS, ISCC CORSIA(탄소 상쇄 및 감축제도), ISCC EU)

    - 국내 최초로 CORSIA 인증 SAF(지속가능항공유)를 생산할 수 있음(바이오 원료를 활용하여 약90%의 온실가스 배출량 저감)

     

    05 롯데케미칼

    - 합성수지 7개 제품이 국제 친환경 제품 인증인 ISCC PLUS를 획득

    - 석유화학 원료인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C(Polycarbonate), BD(Butadi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제품과 고기능성 합성 수지 제품인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컴파운드 PC 제품으로서 폐플라스틱의 화학적 재활용 통해 얻어진 ISCC인증 열분해유 납사 원료를 사용

     

    06 HD현대오일뱅크

    - 국내 정유사 최초로 국제 친환경 인증 제품 인증제도 ISCC PLUS를 취득

    -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친환경 납사(나프타)로 생산하는 공정에 부여

    - 인근 석유화학사와 해외 시장에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기반 나프타 판매

     

    ※이 외, 여러 곳에서 ISCC PLUS & ISCC EU 획득 및 진행과정 중에 있음

     

    END

    기후 변화 심각성으로 전 세계에서 환경오염을 줄이고 친환경, 지속가능한 산업을 하기 위해 많은 노력들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유럽으로 수출하는 제품들이 많기 때문에 ISCC PLUS 및 ISCC EU도 함께 획득을 하고 있네요. 앞으로도 여러 정유, 석유화학 기업들의 친환경 인증 획득과 모든 공정 과정에서 친환경 원료로 바뀌길 기대해 봅니다.

     

    'ISCC EU' 및 'ISCC PLUS' 인증에 대해 조금이나마 이해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본 내용들은 다양한 사이트에서 관련 내용을 발췌하여 개인 공부용으로 정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