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Y/재테크 경제

[재테크] 숨은 돈 찾기 다섯 가지 방법! (휴면계좌 조회, 세금 환급 등)

by 경제러브 2025. 4. 7.
반응형

INTRO

재테크는 정말 사소한 시작이 중요한데요. 나도 모르는 소소한 돈이 나가고 있지 않은지, 숨어 있는 내돈이 있지 않은지 확인은 필수 입니다! 얼마를 찾고 얼마를 아낀것도 정말 중요하지만 그보다도 더 중요한 것은 귀찮음을 이겨내고 변화를 위한 행동을 취한 사실인데요. 이 경험들이 더 많은 돈을 아끼고, 또 벌 수 있는 원동력이 되어주니 꼭 시간내서 한 번 해보시길 바랍니다. 

 

▤ 목차

    '휴먼 계좌' 돈 찾기

    - '계좌정보통합관리 서비스'에서는 휴면예금과 신탁을 포함한 모든 은행 계좌를 조회 가능

    - 실제, 휴면예금에 쌓인 돈만 1조 8천억 원에 달한다고 함

    - 이 서비스를 통해 몇십, 몇백만 원의 숨은 돈을 찾는 분이 많음

    - 카드 포인트 조회·현금화, 계좌 자동이체·조회·변경, 미환급 공과금 등도 확인 가능

    - 1년 이상 거래가 없었고 50만 원 이하인 계좌는 잔고 이전과 해지도 한 번에 처리 가능

     

    ☞ 숨어있는 카드포인트나 보험금도 조회할 수 있으니 꼭 들어가서 확인해 보시길 추천!

     

     

    계좌정보통합관리 서비스 ☞

     

    '세무 대리' 세금 환급

    - ‘삼쩜삼’ 같은 세무대리서비스나 '국세청 원클릭'(로그인 후 확인 가능) 서비스를 통해서 ‘미수령 국세환급금’을 돌려받을  수 있음

    - 민간 서비스의 경우 수수료가 있지만 편리하다는 장점

    - 최근 국세청에서 선보인 원클릭 서비스는 수수료가 없음

     

    국세청 원클릭 ☞

     

    '장기충당수선금' 환급

    - ‘장기충당수선금’이란 아파트나 오피스텔을 관리하면서 승강기 등 노후한 시설물을 교체하거나 단지를 깨끗하게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금액을 장기간 쌓아놓는 예치금을 뜻함

    - 오피스텔의 관리비 고지서에도 ‘장기충당수선금’ 항목이 기재되어 잇음

    - 아파트나 오피스텔에 거주하는 전·월세 세입자라면 임대차계약이 종료되는 날(이사하는 날) 집주인으로부터 ‘장기충당수선금’을 법적으로 돌려받을 수 있음

    - 세입자의 권리인 만큼 꼭 기억해 두면 나중에 잊지 않고 환급 받을 수 있음

     

    'TV수신료' 해지

    - 매달 TV수신료 2,500원이 빠져나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TV가 없는 분들은 TV수신료를 내지 않아도 됨

    - 집 혹은 사무실에 TV를 설치할 생각이 없을 경우 한국전력 고객센터(국번 없이 123)에 전화해서 TV수신료를 해지하면 됨

    - 한 달에 2,500원씩 1년이면, 30,000원이나 되는 금액으로 작은 금액이라도 아끼기

     

    한전ON ☞

     

    '통신요금' 아끼기

    - 재테크의 기본 중 기본은 역시 ‘통신요금 아끼기’ 방법

    - 본인이 쓰고 있는 통신사 홈페이지에서 현재 쓰고 있는 요금제와 불필요한 부가서비스 가입유무를 체크해 보기

    - 가장 저렴한 LTE 요금제 + LTE 안심 옵션으로 한 달 핸드폰 요금이 2만 원을 넘지 않게 할 수 있음

    - LTE 데이터를 다 쓰면 속도가 느려지긴 하지만, 와이파이가 되는 구간 외에는 느린 불편함을 참아야 하는 단점이 있음

    - 핸드폰 약정 할인이 끝났거나 가족 혜택 등이 필요 없다면, 기존 통신사보다 절반 정도 저렴한 요금제인 알뜰폰으로 바꾸는 것도 돈을 아끼는 효과적인 방법

    - 알뜰폰은 통신3사의 통신망을 빌려 사용하기 때문에 통화 품질과 데이터 속도가 일반 통신사와 동일

    - 사용하던 번호와 기계 그대로 유심만 바꾸면 사용할 수 있음

     

     

     

    [재테크] 나에게 맞는 환테크 방법 알아보기! (달러 투자, 환율 스프레드)

    INTRO환테크에는 여러가지 방식이 있는데요. 달러 자체로 환차익을 노리는 방법과 달러 기반의 투자자산에 투자하는 방법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최근 경제 부총리의 이슈였던 미국 국채도 해

    huge-economy.tistory.com

     

     

    25년 이더리움 전망, 진짜 랠리는 올까? (기술적 분석 및 현실)

    가상화폐에 투자는 하고 있지 않지만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있는데요. 25년도 들어 이더리움 가상화폐의 관심이 뜨거워지고 있고, 오랜 조정장을 거쳐 대상승이 올 수 있다는 분석이

    adonis-ho.tistory.com

     

     

    네 가지 경제 시나리오를 통한 분산 투자 전략 알아보기! (고성장, 고물가, 저성장, 저물가)

    경제를 보는 중요한 두 가지 요소는 바로 '물가'와 '성장'인데요. 물가가 고물가(인플레이션)와 저물가(디플레이션)로 나뉘는 것처럼 성장도 고성장, 저성장으로 나누어지게 됩니다. 물가와 성장

    adonis-ho.tistory.com